일반84 필리핀 몰(Mall)은 우기때 집이다... 《비가 오면 나는 몰로 간다 – 필리핀 몰은 우기의 집이다》필리핀은 두 계절밖에 없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하나는 더운 계절, 다른 하나는 아주 더운 계절.하지만 그 둘 사이에 숨은 진짜 계절이 있다. 바로, “몰의 계절”,공식 명칭으론 “우기(Wet Season)”라 불리는 그것이다.비가 오는 날, 필리핀 사람들은 집으로 간다 – 그런데 그 집이 '몰'이다.우기철의 하늘은 약속 없이 화난다.해가 뜨겁게 내려쬐다가도 어느 순간 구름들이 모여들고,그들끼리 눈빛 교환 한 번이면 순식간에 하늘이 폭포수로 변한다.비는 사정이 없다. 길도, 골목도, 사람도 전부 적신다.그리고 그 순간, 필리핀 사람들은 어디론가 빠르게, 그리고 익숙하게 향한다.우산도 없이, 뛰지도 않는다.그냥 묵묵히, 젖은 슬리퍼를 질질 끌며,그들.. 일반 2025. 7. 4. 필리핀 일일 최저임금이 공식적으로 ₱50 인상 최근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NCR)’ 지역의 일일 최저임금이 공식적으로 ₱50 인상되었고, 7월 18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확정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Non‑Agriculture (비농업): ₱645 → ₱695Agriculture / 서비스·소매·소공업(15인 이하): ₱608 → ₱658이 인상은 NCR 지방노동생산성위원회(NCR RTWPB)에서 최저임금 결정 발표를 통해 공식화되었으며, 노동부도 7월 18일부터 실제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최저임금 (2025년 기준 요약)재정확인된 최신 수치는 아래와 같습니다:지역 (RTWPB 단위)일일 최저임금 (PHP)NCR (마닐라)① 비농업: 695② 농업/서비스·소매/소공업: 658CALABARZON (Region IV‑A)약 420–5.. 일반 2025. 7. 3. 필리핀 졸리비(Jollibee) 창업? 필리핀 국민 패스트푸드 브랜드 **졸리비(Jollibee)**는 단순한 햄버거 가게가 아니라, 필리핀의 자존심이자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 중인 거대 프랜차이즈입니다. 졸리비의 창업 이야기부터, 외국인이 필리핀에서 직접 지점을 운영하기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까지 아래에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1. 졸리비 개요브랜드명: Jollibee창업연도: 1978년설립자: Tony Tan Caktiong (중국계 필리핀인)본사 위치: Pasig City, Metro Manila, Philippines슬로건: "Langhap Sarap!" ("향기부터 맛있다!")📗 2. 창업 배경과 성장 이야기1975년, Tony Tan이 아이스크림 파를 마닐라에서 소규모로 시작고객의 요청에 따라 햄버거, 스파게티, 프라이드 .. 일반 2025. 6. 23. 필리핀 주유소 체인점(석유회사)들 / 주유소 자영업(프랜차이즈) 진출 조건 필리핀에는 대표적인 주유소 체인점(석유회사)들이 몇 군데 있으며, 대부분 전국에 널리 퍼져 있어요. 주요 브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필리핀 대표 주유소 체인✅ 1. Petron Corporation필리핀 최대의 정유 및 석유회사전신은 Philippine National Oil Company (PNOC)주유소 수 기준으로 필리핀 1위쇼핑몰, 고속도로, 지방 도시까지 고르게 분포제품: XCS, Blaze, Turbo Diesel 등일부 매장에는 미니마트 (Treats) 또는 세차장 병설✅ 2. Shell Philippines (Pilipinas Shell Petroleum Corporation)네덜란드-영국계 글로벌 브랜드 Shell의 필리핀 지사브랜드 이미지 우수, 부유층 선호 경향주유소 외에도 Shell .. 일반 2025. 6. 23. 필리핀 국경일엔 무엇을 하나? – 민족주의와 음식의 날 《필리핀 국경일엔 무엇을 하나? – 민족주의와 음식의 날》"바이얀리한(Bayanihan)" 정신이 깃든 날들필리핀에서 국경일은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다. 전쟁과 저항, 영웅과 희생을 기리는 날이며, 동시에 바비큐 굽고, 할로할로 나누며, 가족·이웃과 하나 되는 축제의 시간이다. 이 모든 것이 모여 **‘민족주의 + 음식 = 필리핀식 애국’**으로 귀결된다.Independence Day (6월 12일) - 독립의 맛은 치킨 이나살?독립기념일에는 종종 바랑가이(Barangay) 단위의 퍼레이드가 열린다. 고등학생들의 드럼 앤 리릭 밴드부터 각종 코스튬 퍼레이드까지, 의외로 규모가 크다.공원에선 국기 게양식, 군인 사열이 펼쳐지고, 뒤편 그늘에선 삼겹살처럼 생긴 **리촌 바부이(Lechon Baboy)**가 돌.. 일반 2025. 6. 20. 필리핀에서 바랑가이 캡틴(Barangay Captain)의 세계 《필리핀에서 한국인은 모르던 '바랑가이 캡틴'의 세계》* 마을의 왕인가, 문제 해결사인가필리핀 사회는 행정구역상 ‘바랑가이(Barangay)’라는 최하위 단위를 중심으로 운영됨바랑가이 캡틴(Barangay Captain)은 해당 바랑가이의 최고 지도자공공기관 직원이자 지역사회 대표로서, 민사 분쟁부터 쓰레기 수거, 범죄 신고, 지역 행정까지 도맡음일상 속 민원, 갈등 조정, 긴급 상황 대응 등에서 주민들은 먼저 캡틴을 찾음정부보다 더 ‘먼저’ 만나게 되는 공권력선출직이며, 보통 3년 임기. 지역민의 표로 결정되기 때문에 ‘선거’는 동네 큰 행사임“공무원이라기보다, 이 마을의 촌장이죠. 뭐든 물어보면 알아서 처리해줘요.” – 현지 주민 마르코(Marco)의 말* 그들의 권력과 영향력단순 행정책임자 수준이 .. 일반 2025. 6. 19. 필리핀 대형 쇼핑몰에서 일하는 수천명 사람들의 하루 필리핀의 대형 쇼핑몰(SM Mall)을 중심으로 한 몰 내부 탐방 내용이며, 수천 명의 종사자, 보안·청소·안내요원 인터뷰, 그리고 일반인들이 모르는 SM의 뒷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몰 내부 탐방 – 쇼핑몰에서만 일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 하루》쇼핑몰에서만 일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필리핀의 대표적 쇼핑몰, SM Mall. 고객에게는 쇼핑과 식사의 공간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생계를 이어가는 일터마닐라 SM North, SM Megamall, SM Mall of Asia 등 대형 지점 하나당 상시 근무 인원 약 3,000~5,000명근무자 유형: 매장직원, 식당 종업원, 보안 요원, 청소 인력, 안내 요원, IT 기술 지원팀, 물류 담당, 냉방 설비 팀 등대부분 외주 계약 또는 아웃소싱 소속. 하루 9시간.. 일반 2025. 6. 13. 필리핀에서 집을 짓는다는 것...외의...다른이야기들 필리핀 여행하다 보면 꼭 보게 되는 "1층까지만 짓고 멈춘 집들"… 누가 보면 좀비 아포칼립스 직전 같지만, 사실은 현명한 생존 전략!《필리핀에서 '집'을 짓는다는 것: 벽돌 위의 인생계획》“저 집, 왜 지붕이 없지?”한국인 관광객들이 필리핀 시골이나 교외를 지나며 가장 많이 묻는 말 중 하나다.철근이 삐죽 솟아 있는, 콘크리트 벽만 덩그러니 있는 1층 집.건설 중단? 무허가? 아니면 버려진 건물?아니다.그 집은 지금 '자라는 중'이다.1. 집을 짓는 방식도 삶을 짓는 방식이다필리핀에서는 대부분의 서민 가정이 **'한 번에 집을 완공'**하지 않는다.한국처럼 3억 대출 받아 30층 아파트 계약하고, 입주하는 날 가족 단체 사진 찍는 문화는 여기에 없다.여기서는 월급을 모아 벽돌을 사고, 다음 달엔 철근을.. 일반 2025. 6. 11. 필리핀에서 늘어나는 HIV 감염 《필리핀에서 늘어나는 HIV 감염, 그리고 그 주된 대상은 청년들》HIV 감염 증가율 동남아 1위, 그리고 그 속의 청년 세대필리핀의 HIV 상황, 지금 어떤가요?필리핀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HIV 신규 감염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특히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HIV가 감소 추세인 반면, 필리핀은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이는 나라 중 하나임동남아시아 국가 중 HIV 감염 증가율 1위, 이는 매우 심각한 신호임누가 감염되고 있나요?감염자의 대부분은 15세에서 34세 사이의 젊은 층임이 중에서도 남성이 90% 이상을 차지하며, 그중 다수는 남성과 성관계를 가진 남성(MSM)10대 후반~20대 초반 청년들 사이에서 급격한 증가 추세가 뚜렷함감염 경로는 주로.. 일반 2025. 6. 10. 필리핀 5년 뒤 파내지는 무덤, 죽음조차 유료인 나라 필리핀의 장례 문화, 특히 시멘트 무덤과 **거리의 납골당(columbarium)**에 대한 충격적이면서도 인상 깊은 현실 내용입니다. 한국과는 너무도 다른 문화적 배경과 실상을 바탕으로, 여행자 혹은 관심 있는 이들에게 매우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필리핀 장례문화 충격--참조》1. 죽음은 끝이 아닌 일상이다필리핀에서는 죽음이 ‘가려진 슬픔’이 아니라, 때로는 ‘공공의 일상’처럼 드러나 있습니다.도시의 빈민 지역이나 공공묘지에서는 사람들이 무덤 위에서 밥을 먹고 잠을 자는 광경도 드물지 않습니다.일부 사람들은 실제로 무덤을 거주지로 사용하며, 이를 “living with the dead”라고 부르기도 합니다.2. 시멘트 무덤: “box-type” 구조필리핀의 무덤은 대체로 **콘.. 일반 2025. 6. 4. 필리핀 물가 25년 밥 한 공기 얼마? 《2025 필리핀 물가 리얼 분석 – 마닐라 vs 세부 vs 지방》 입니다. 실제 물가를 기준으로, 지역별 차이를 예시 중심으로 했습니다. (기준 환율: 1페소 ≒ 24원, ₱100 ≒ 약 2,400원)🔍 1. 패스트푸드 비교 – 맥도날드 세트 메뉴마닐라맥도날드 Big Mac 세트: ₱210 ~ ₱230치킨 조이(1pc + 라이스 + 음료): ₱160 ~ ₱180평균 ₩5,000 내외세부Big Mac 세트: ₱200 ~ ₱220현지 특화 메뉴 (버거스테이크 등): ₱150약간 저렴, ₩4,500 정도지방 도시 (예: 바콜로드, 일로일로, 다바오 등)Big Mac 세트: ₱190 ~ ₱210Jollibee 등 현지 브랜드의 세트 메뉴는 ₱120부터₩4,000대 가능🍚 2. 기초 식료품 – 밥 한 공기,.. 일반 2025. 6. 3. 필리핀 2025년 현재 마트 물가 🇵🇭 2025년 필리핀 마트 물가 리포트: 장바구니가 가벼워지는 건 기분 탓일까?2025년, 필리핀의 마트 물가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한국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필리핀의 주요 식료품 가격과 그 변동 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식료품 가격 (2025년 기준)품목평균 가격 (₱)한화 환산 (₩)우유 1L₱101.43약 ₩2,535식빵 500g₱71.68약 ₩1,790쌀 1kg₱53.70약 ₩1,340계란 12개₱117.33약 ₩2,930닭가슴살 1kg₱246.13약 ₩6,150사과 1kg₱165.45약 ₩4,130바나나 1kg₱82.31약 ₩2,060토마토 1kg₱91.59약 ₩2,290양파 1kg₱144.89약 ₩3,620생수 1.5L₱41.18약 ₩1,030환율은 .. 일반 2025. 5. 27. 필리핀의 월세 임대(Rental) 다음은 한국의 전세와 필리핀의 월세를 비교한 정리입니다. 두 나라의 주거 문화는 생각보다 꽤 다릅니다. 집을 구할 때의 관점, 계약 방식, 금전 흐름, 법적 보호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한국의 전세 vs 필리핀의 월세1. 기본 개념한국(전세): 거액의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기고, 매달 월세를 내지 않고 거주필리핀(월세): 매달 정해진 금액을 집주인에게 지불, 보증금은 1~3개월치 선불2. 계약 방식한국전세계약 2년이 기본전세금은 수천만 원 ~ 수억 원계약 만료 시 전세금 전액 반환등기부등본 확인 필수 (전세권 보호)필리핀계약기간 다양 (6개월 ~ 1년, 그 이상도 가능)보증금(Security deposit) + 선불(Rent advance) 요구보통 2개월 보증금 + 1개월 선불 (2+1 시스템.. 일반 2025. 5. 14. 필리핀의 고물가와 생활비 상승 문제 지금 필리핀의 고물가와 생활비 상승 문제는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의 일상, 정치적 불안정, 사회 구조 전체를 흔드는 중대한 위기입니다. 아래에 요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물가 상승률 (Inflation Rate) 현황2022~2023년 평균 물가 상승률은 **6~8%**에 달했으며일부 시기엔 9% 이상까지 치솟음2024년 하반기 들어 조금 안정세지만 여전히 5% 내외의 고물가 유지쌀·설탕·양파·기름·계란 등 기초식품이 주된 상승 요인🍚 2. 쌀값 폭등의 연쇄 효과1kg당 쌀 가격이 **60페소(약 1,400원)**를 넘는 지역도 있음쌀은 필리핀 식단의 핵심 → 다른 식품 소비도 압박받음정부의 NFA 저가쌀 판매 재개도 수요에 못 미쳐→ 가난한 가정은 하루 2끼 이하로 줄이는 사례도🛍.. 일반 2025. 5. 7. 필리핀 쌀 가격 상승 심각.... 필리핀의 쌀 가격 상승은 단순한 가격 인상이 아니라, 국민들의 생활과 국가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2025년 현재, 필리핀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량 안보 비상사태를 선언하였으며, 이는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쌀 가격 상승 현황필리핀의 주요 쌀 품종인 **"NFA rice"**와 **"commercial rice"**의 가격은 최근 몇 달 사이 급등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말 1킬로그램당 약 40페소였던 NFA rice의 가격은 2025년 4월 현재 60페소로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약 **50%**의 가격 상승에 해당합니다. 또한, commercial rice의 경우, 2024년 말 1킬로그램당 약 50페소였던 가격이 현재 75페소.. 일반 2025. 5. 4. 이전 1 2 3 4 ··· 6 다음